반응형
KOA StudioSA ver 2.20에 나오는 가이드이다.
여기서 FID 911은 체결량, 915는 단위체결량이다.
둘의 차이가 무엇일까?
예를 들어 내가 100주를 매수 주문을 했고, 순서대로 30주, 34주, 36주가 체결되었다고 해 보자.
그럼 911과 915의 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
911 (체결량) | 915 (단위체결량) | |
30주 체결 | 30 | 30 |
34주 체결 | 64 | 34 |
36주 체결 | 100 | 36 |
매수되자마자 매도하는 코드를 짜고 싶을 때, 매도 주문수량을 911을 통해 받아온다면 첫 번째 매수 체결에서는 30주를 매도하겠지만 두 번째 매수 체결부터는 잔고에 34주 밖에 없는데 64주를 매도하려고 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매도 주문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그럴 때는 911이 아닌 915를 써야 한다.
요약: 911(체결량)은 그 주문이 접수된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누적체결량. 915(단위체결량)은 지금 그 주문에서 막 체결된 수량.
반응형
'Kiwoom Open 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t10059: 종목별투자자기관별요청 분석 (0) | 2024.12.24 |
---|---|
opt10081: 주식일봉차트조회요청 분석 (0) | 2024.11.10 |
상장폐지 종목 구분 (0) | 2021.08.11 |
키움증권 시스템 정기 점검 일정 (0) | 202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