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가 무엇인지 굳이 알 필요는 없다. 그냥 일반 주식이라고 생각하자. 그렇게 생각해도 전혀 문제없다.
단, 반드시 알아야 할 점은, "ETF 가격은 무엇인가를 따라간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나스닥 지수를 따라가는 ETF로서 QQQ가 있다.
코스피 지수를 따라가는 ETF로서 ACE 코스피가 있다.
코스피 지수가 떨어지면 ACE 코스피 1주당 가격도 떨어진다.
이렇듯 ETF는 무엇인가를 '추종하는 대상'이 반드시 있다.
이 점만 기억하자. 이것도 투자하는데 그닥 중요한 사실은 아니다.
ETF를 나누는 방법 중 하나는, 패시브냐, 액티브냐이다.
패시브(Passive) ETF는 대부분의 ETF가 여기에 해당하는데, '추종하는 대상'을 그냥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것이다.
코스피 지수가 오르면 ACE 코스피 가격도 오르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액티브(Active) ETF는 '추종하는 대상'을 70%만 따르고, 30%는 ETF 운용사 재량껏 해도 된다.
추종 대상의 그림자를 100% 따라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지금은 70%까지는 따라하라고 법으로 되어 있지만 점차 그 수치가 내려올 거로 예상한다.
그럼 패시브와 액티브 둘 중 뭐가 좋을까?
케바케다. 액티브 ETF 운용자의 실력이 좋으면 패시브 ETF보다 수익률이 좋을 것이다. 그 반대도 성립한다. 더 까먹을 수 있다. 현재까지는 대체로 액티브 ETF의 수익률이 더 좋다.
개미들은 그냥 액티브 ETF만 사둬도 상위 10% 안에 들수 있다.
액티브 ETF를 더 잘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상위 2% 안에도 가능할 것이다.
이 블로그를 통해 그 비법을 공개하겠다.
'주식으로 10억 벌기 > 기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지식] 주식, ETF 호가 단위 (0) | 2024.07.16 |
---|---|
[기본 지식] 주식 거래 세금 및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4.07.14 |
[기본 지식] 리밸런싱 (0) | 2024.07.10 |
[기본 지식] 이평선 방향 쉽게 계산하기 (0) | 2024.07.08 |
[기본 지식] 물타기와 분할매수 (0) | 202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