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으로 10억 벌기/기본 지식 20

[ 주린이 주식기초 - 02 ] - "재무제표"란 무엇인가?

학생의 수업능력을 나타내는 것이 '학생부'이다. 혹은 '성적표'라고도 불린다. 회사도 돈을 잘 버는지 능력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을 보여주는 표가 바로 '재무제표'이다. 재무제표 라는 말은 여러가지 성적표를 모아둔 집합을 말한다. 재무제표라는 이름으로 된 표는 없다. 재무제표 라는 집합 아래, 다음과 같은 원소가 있다. 1. 재무상태표 2. 포괄손익계산서 3. 자본변동표 4. 현금흐름표 5. 재무제표 주석 보통은 이렇게 5가지 문서를 통틀어서 '재무제표'라고 부른다. 1. 재무상태표 어떤 시점, 보통은 12월 31일에 회사의 자산, 부채, 자본의 상태를 보여준다. 2. 포괄손익계산서 일정 기간 동안의 수익-비용=순이익 관점에서 작성된 것이다. 3. 현금흐름표 일정 기간 동안의 현금 입출금 상태를 보여준다...

[ 주린이 주식기초 - 01 ] "법인", "자본금", "액면가"란 무엇인가?

물건을 팔아서 돈을 벌려면 회사를 세워야 한다. 법률 용어로 회사를 '법인' 이라고 한다. '법인'은, '법으로 만든 인간'이라는 의미다. 일반 성인들이 주민등록증에 주민등록번호가 있듯이, 법인도 그런 번호가 있는데, 그것을 '법인등록번호'라고 부른다. 사람에게 이름이 있듯이 '법인'도 이름이 있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삼성전자'의 실제 이름과 법인등록번호는 다음과 같다. 법인명: 삼성전자 주식회사 법인등록번호: 124-81-00998 그럼 법인은 어떻게 만들까? A, B, C 이렇게 3 사람이 모여서 법인을 만든다고 가정하자. 먼저 법인의 크기(몸통)를 정해야 한다. 크기는 세 사람이 내는 돈의 합으로 정해진다. 법인을 만드는 이유는 사업을 하기 위함이고, 사업을 하려면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먼저 돈..

주식 주문 종류와 의미

증권사 HTS(Home Trading System)을 보면 다양한 '주문방식'이 있음을 볼 수 있다. 각 '각 주문방식'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점이 다른지 아래 표에 정리. 보통 가장 흔히 사용하는 주문방법. 가격, 수량을 모두 지정. 조건이 맞으면 체결, 일부만 체결되기도 한다. 시장가 가격 불문하고 무조건 매수하거나 매도하고자 할 때 사용. 수량만 지정하며, 모든 수량이 체결될 때까지 호가창에 있는 물량이 순차적으로 체결. 조건부지정가 가격, 수량을 지정한다는 점에서 '보통'과 동일. 하지만, 장종료 시점까지 체결되지 않으면 장종료 시점에 시장가로 자동 변경. 특정한 어떤 날에 꼭 매매하고자 할 때 사용. 최유리지정가 시장가처럼 수량만 지정. 시장가는 수량이 모두 찰 때까지 호가창의 물량을 소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