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73

[기본 지식] 주식 거래 세금 및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자

삼성전자 같은 일반 주식을 거래할 때,매수할 때 0.015% 수수료를 내야한다. 이것은 키움증권 같은 회사가 먹는다.매도할 때도 0.015% 수수료를 내야한다.따라서, 매수/매도를 하게되면 총 0.03% 비용이 나가게 된다.이것 외에 국가에서 떼가는 세금이 있다. 0.2%이다. 따라서, 수수료+세금을 더하면, 0.23%이다.중요한 것은, 내가 손해를 봐도 0.23%를 내야한다는 점이다.그런데, ETF는 세금이 없다.엄밀하게 말하자면, 세금이 있다. 하지만, 내가 이익을 봤을 때만 세금이 있다. 심지어 세금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 ETF마다 다르다고 보면 된다. 어쨌든, 내가 이익을 내야 세금이 붙기 때문에 일단은 수수료 0.03%만 기억하고 있으면 된다.

[기본 지식] 액티브 ETF

ETF가 무엇인지 굳이 알 필요는 없다. 그냥 일반 주식이라고 생각하자. 그렇게 생각해도 전혀 문제없다.단, 반드시 알아야 할 점은, "ETF 가격은 무엇인가를 따라간다"는 사실이다.예를 들면, 나스닥 지수를 따라가는 ETF로서 QQQ가 있다.코스피 지수를 따라가는 ETF로서 ACE 코스피가 있다.코스피 지수가 떨어지면 ACE 코스피 1주당 가격도 떨어진다.이렇듯 ETF는 무엇인가를 '추종하는 대상'이 반드시 있다. 이 점만 기억하자. 이것도 투자하는데 그닥 중요한 사실은 아니다.  ETF를 나누는 방법 중 하나는, 패시브냐, 액티브냐이다.패시브(Passive) ETF는 대부분의 ETF가 여기에 해당하는데, '추종하는 대상'을 그냥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것이다.코스피 지수가 오르면 ACE 코스피 가격도 오..

[기본 지식] 리밸런싱

리밸런싱(Rebalancing)이란 단어를 많이 들어볼 것이다.무슨 의미인가?문자 그대로 "다시 균형을 맞춘다"는 의미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는 오래된 격언이 있다. 이 말의 의미는 나의 전재산을 한곳에 몰빵하지 말라는 의미다.부동산에 몰빵한다든가, 삼성전자에 몰빵한다던가 그런 일을 하지 말라는 것이고, 분산하라는 의미다.투자를 할 돈이 10억 이라면,5억은 삼성전자를 사고 5억은 채권을 사는 것으로 분산할 수 있다. 이 경우엔 1:1의 균형으로 투자를 하였다.리밸런싱은 주기적으로 다시 균형 맞춘다는 의미다. 만약 삼성전자 주가가 올라서 주식평가액이 7억이 되었다면,처음 1:1 비율에서 7:5 비율로 된 것이다. 이것을 다시 1:1 비율로 맞추는 것이 리밸런싱이다.어떻게 맞추면 될까? 간단하다...

[투자 방법 연구] 돌파 매매의 헛점

주식 투자하는 방법은 아주 다양한데 그 중 하나는 돌파매매이다.돌파매매란 위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주가가 파란색 선을 돌파할 때, 즉 전고점들을 돌파할 때 '매수진입'한 후 충분한 수익이 날 때까지 홀딩하는 전략이다.돌파매매는 기본적으로 추세추종 매매이다. 주가가 전고점을 돌파한다는 것은 주가 이동평균선이 우상향하고 있는 중인 셈이다.  그래서 수익을 내는 시간측면에서 볼 때 효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그럼 아주 만능일까? 그렇지 않다. 쉽고 좋다면 누구나 부자가 되었을 것이다.돌파매매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니 명심해야 한다.돌파매매의 특징과 위험성을 아래에 기술하였다.(1) 초기 진입할 때 매수 금액을 크게 걸어야 의미있다. 작게 건 후, 주가가 상승할 때 추가로 더 매수하기도 한다. 흔히..

[기본 지식] 물타기와 분할매수

물타기는 절대하지 말라는 사람들이 있다.주식 전문 유튜버들도 그런 소리한다.한편,주식을 매수할 땐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분할매수하라고 한다.분할매수가 전문이라는 유튜버도 있다.분할매수와 물타기는 본질적으로 평균매수단가를 낮추는 행동이다.똑같다는 의미다.분할매수는 괜찮아보이고, 물타기는 해서는 안되는 일로 생각한다면 아직 한참 하수다.

[투자 방법 연구] 주식투자에서 제일 어려운 점

주식투자에서 제일 어려운 점은 무엇일까?많은 사람들이 '종목선정'이라고 한다.종목 선정?즉, 상승할 종목을 고르는 것이 제일 어렵다고 한다.그런데, 상승할 종목을 찾는다는 것은 우리 미래(future)가 미리 정해져있다는 말과 같다. 정말 그런가? 삼성전자는 2024년 2분기 실적이 얼마가 될 것이고 2년뒤엔 삼성전자가 물적분할을 하게 될 것이며, 블라블라. 이렇게 정해져있나?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극히 적을 것이다. 설령 미래가 정해져 있다해도 그 미래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주가는 신도 모른다'는 오래된 격언은 깨진 적이 없다.사실 상승할 종목을 찾으려고 애쓸 필요없다. 왜냐하면 이미 상승 추세에 있는 종목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종목들을 '달리는 말'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이 달리는 말에 올..

[투자 방법 연구] 그리드 간격과 종목수

월 1,000만원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세팅해야 할 지 알아보기 위한 계산이다.* 그리드 간격=1.5% 기준    주가            1,000    10,000    100,000그리드간 수익(원)               15        150       1,500만원 벌기위한 그리드간 주식차이             667         67             7     그리드간 보유수량 차이 100101그리드간 수익(원)           1,500      1,500       1,50050만원 벌기 위한 종목수             333        333         333     그리드간 보유수량 차이 200202그리드간 수익(원)           3,000      3,00..

[배당주] 커버드콜이 뭐지?

배당주 투자해서 파이어족 되자, 배당주 투자해서 퇴사한 후 여행이나 다니자는 주장을 흔히 볼 수 있다.그렇게만 되면 얼마나 좋을까!그래서 알아본 배당 ETF. 배당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려면, 배당이 커야 한다. 즉, 고배당주이어야 한다. 고배당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Covered Call ETF이다.커버드콜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한 설명은 인터넷에 자료가 많으니 여기선 요점만 말하겠다.간단하게 말하자면;1. 기초자산(주로 주식)은 사되,2. 기초자산의 콜옵션은 매도하는 상품배당은 콜옵션 매도한 것으로 나눠준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많은 상품이 그렇다.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없다. 아래 그림을 보자.(출처: 한국경제)위 그림은 커버드콜의 수익그래프이다. 다른 것은 생각하지 말고 오직 빨간색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