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74

권리락 vs 배당락

배당락이나 권리락을 설명할 때, "주주간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납기하기 어렵다. 이해하기 좋은 방법은, "기업의 가치를 맞추기 위해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무상증자의 예로 생각해보자. 현재 기업의 시가총액이 1억이라고 하자. 그런데, 그 기업이 1:1 무상증자, 즉 1주에 1주를 무상으로 주는 무상증자를 한다고 하자. 무상증자를 한 후 기업의 시가총액은 2억 될 것이다. 뭐라고? 좀 이상하다. "기업의 가치 = 시가총액" 인데, 기업은 아무것도 한 것이 없고 단지 무상증자만 했을 뿐인데 기업의 가치가 2배로 된다는 게 이상하다. 이게 사실이라면, 기업의 가치를 올리는 것은 매우 쉽다. 계속 무상증자 하면 되니까. 따라서 무상증자를 했을 때에서도 기업의 가치 즉 시가총액이 변하지 않도록..

분산투자와 몰빵투자의 비교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는 유명한 주식격언이 있다. 이 격언이 정말 맞을까? 원금 20,000원을 가지고 주식투자를 한다고 가정하자. 주식이 상승할 지 하락할 지 각각 50% 확률이라고 하자. 또한 손절폭은 -50%, 익절폭은 +50%로 잡는다. 실제로 손절폭을 저렇게 크게 잡지 않지만 '분산투자'와 '몰빵투자' 양쪽에 공평하게 적용하면 되기 때문에 문제없다. ☞ 몰빵 투자 한 종목에 20,000원을 몰빵해서 수익이든 손실이든 보고 매도한 후에 나머지 금액을 그 다음 종목에 또 몰빵하는 투자이다. ☞ 분산투자 20,000원을 종목별로 균등하게 나누어서 투자한다. 그럴 경우, 수익율은 아래 표와 같다. 두 방식을 비교해보자. 손실 볼 확률이 '몰빵 투자' 쪽이 매우 크다. 몰빵투자는 로또나 도박과 ..

[numpy] linspace vs arange

■ linspace vs arange둘 다 숫자로 된 시퀀스를 만든다는 점에서 동일arange(시작 숫자, 미만 숫자, 간격)np.arange(10, 0, -1) → [10, 9, 8, 7, 6, 5, 4, 3, 2, 1] 이 됨.0이 포함 안된다.즉, arange는 'A에서 시작해서 일정간격으로 숫자를 만들되, B는 포함하지 않을 때까지'라는 의미다.반면 linspace는 반드시 끝 구간을 포함한다.np.linspace(시작 숫자, 이하 숫자, 그 사이에 찍을 숫자 수)Python 3.12.4 (tags/v3.12.4:8e8a4ba, Jun 6 2024, 19:30:16) [MSC v.1940 64 bit (AMD64)] on win32Type "help", "copyright", "credits" ..

numpy 2020.11.01
반응형